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

사업분야

정부지원사업

고소작업대 보조금 지원사업

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은 기술·재정여력이 취약한 중소사업장과 공사금액 50억원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의 사고사망 및 중상해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『안전일터 조성지원 사업』 - 고위험 개선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

개요

지원한도 사업장 당 최대 3,000만원까지 (해당연도 1회에 한함)
지원비율 구매 장비 공단판단금액의 70%
지원금액 장비 1대당 최대 1,100만원까지 가능 (작업높이에 따라 지원금액 상이)
지원 제한 대수 한도(3,000만원) 내에서 여러대 가능, 최대 2~3대까지

지원대상

  • 4대보험 가입 사업장
  • 산재보험 가입 가입장
  • 개인 또는 법인사업자
  • 근로자를 고용하고 상시근로자 50인 미만의 사업 또는 사업장의 사업주
    (건설업 제외, 건설업종은 건설업 본사로 신청 가능함)
    ※ 건설업종은 50인 미만 건설업 본사(업종: 90515)에 지원하며 지원설비 사후관리 실시
  • 상시근로자 50인 이상일 경우, 소기업확인서 함께 제출
  • 공공기관 이행보증보험 가입 가능 사업장

지원절차

고소작업대 정부지원사업 신청 방법 및 절차
산업안전공단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서 제출
 
서류심사 및 사업장 1차 현장심사
 
선정 결정통보
(신청후 약 한달 정도 소요)
 
보조금 지급
 
고소작업대 납품 및 2차 현장심사
 
고소작업대 발주 진행

특이사항

  • 지원 절차의 경우, 정부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류 절차가 필요합니다.
  • 공단 지사별 예산초과로 접수 마감 시 진행 불가

지게차 보조금 지원사업

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은 중소사업장의 사고사망 감축을 위한 『안전일터 조성지원(스마트 안전장비 지원)』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

개요

지원한도 동일 사업주 또는 법인 당 최대 3천만원까지
지원금액 최대 1500만원
지원가능대수 사업장 당 1대

지원대상

  • 4대보험 가입 사업장
  • 산재보험 가입 가입장
  • 개인 또는 법인사업자
  • 근로자를 고용하고 상시근로자 50인 미만의 사업 또는 사업장의 사업주
    (건설업 제외, 건설업종은 건설업 본사로 신청 가능함)
    ※ 건설업종은 50인 미만 건설업 본사(업종: 90515)에 지원하며 지원설비 사후관리 실시
  • 상시근로자 50인 이상일 경우, 소기업확인서 함께 제출
  • 공공기관 이행보증보험 가입 가능 사업장

지원절차

고소작업대 정부지원사업 신청 방법 및 절차
산업안전공단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서 제출
 
서류심사 및 사업장 1차 현장심사
 
선정 결정통보
(신청후 약 한달 정도 소요)
 
보조금 지급
 
전동지게차 납품 및 2차 현장심사
 
전동지게차 발주 진행

특이사항

  • 지원 절차의 경우, 정부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류 절차가 필요합니다.
  • 공단 지사별 예산초과로 접수 마감 시 진행 불가

융자지원사업

산업안전공단에서 자금여력이 부족한 사업장의 안전ㆍ보건시설 개선을 위한 장기 저리의 융자금 지원으로 안전시설 투자를 촉진하여 안전보건 관리체계구축 및 사고사망 감축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되는 지원사업입니다.

개요

  • 한도 : 사업장 당 10억원 한도
  • 3년거치 7년 분활상환, 고정금리 1.5%, 중도상환수수료 없음 (3년 거치기간 이후)
  • 공단 지사별 예산초과로 접수 마감 시, 진행 불가

장점

  • 상환기간 : 10년
  • 금리 : 1.5%
  • 월 렌트비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신차 구매 가능
구분 1~3년(이자) 4~10년(이자+원금) 중고 지게차 임대료
좌승식 지게차
1.5T
26,250 276,250 450,000
2.5T
30,625
322,292 600,000
3.0T
35,000
368,333 650,000
입승식 지게차
1.5T
23,750 249,940 400,000
2.5T
27,750
292,036 500,000
* 2~3년 계약 기준, 보증금 2개월치 선납

지원대상

  • 산재보험가입(완납)사업장, 상시근로자 1인이상

지원절차

  • 1 서류접수
  • 2 투자계획 확인
  • 3 자금지원심사
  • 4 시설투자
  • 5 투자완료 확인
  • 6 대출실행
  • 7 사후관리

특이사항

  • 지원 절차의 경우, 정부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류 절차가 필요합니다.
  • 공단 지사별 예산초과로 접수 마감 시 진행 불가